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청와대에서 여야 4당 대표들과 오찬 회동을 가졌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참석했는데 당초 대통령이 미국, 독일 순방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였지만 다른 국정 현안도 논의됐다. 그러나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청와대의 거듭된 요청에도 불참한 것은 이유가 어떻든 아쉽다.
문 대통령은 대선 때 공약했던 ‘인사 5원칙’이 지켜지지 않은데 대해 각 당 대표들이 입장 표명을 요구하자 곧바로 유감을 표시했다. 또 야당의 대북회담 제의 우려에 “사전에 미국에 통보하고 일본에도 양해를 구했다”고 설명했으며 한·미 FTA 개정 협상에 대해선 “국회와 충분히 상의하겠다”고 했다. 특히 대통령은 “원전정책은 밀어붙이기가 아니냐고 하는데 오히려 정반대”라며 공론조사를 통한 민주적 절차를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최저임금 논란에는 “1년간의 성과를 보고 계속 인상 여부를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회동은 2시간 동안 이뤄졌고 대통령에게 할 말을 한 야당 대표들은 회동이 끝난 뒤 대체로 만족해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회동이 분위기가 좋은 것으로, 그것도 일회성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오찬에서 참석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듯 소통과 협치의 시발점이 돼야 하는 것이다. 앞서 대통령과 각 당의 원내대표들은 지난 5월 19일 회담을 갖고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를 신설해 정례화하기로 합의했지만 지금까지 열리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인사청문회와 추가경정예산 등을 놓고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
이번만큼은 달라야 한다. 대통령과 야당은 회동을 신뢰 구축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국정을 책임진 대통령과 여당이 먼저 손을 내미는 게 중요하다. 외국 정상들과도 신뢰를 쌓는데 국익과 민생이라는 목표가 같은 야당과 하지 못할 이유가 있는가. 야당들도 변해야 한다. 건전한 견제와 발목잡기는 엄연히 다르다. 이 땅의 정치 지도자들이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경제, 외교, 안보 위기를 극복하는 데 머리를 맞대길 촉구한다.
[사설]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 일회성으로 끝나선 안 돼
입력 2017-07-19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