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시장 4조 규모로 키우고 ‘하늘길’ 만든다

입력 2017-07-19 05:01

정부가 2026년까지 세계 5위를 목표로 국내 드론 시장을 4조1000억원 규모로 키우기로 했다. 시장 확대를 위해 공공기관이 3000여억원을 투입, 3000여대를 도입하고 드론이 날 수 있는 ‘하늘길’도 만든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안)’에 대한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9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드론 시장은 연 53%씩 성장하고 있지만 미국·중국 등 주요국가 중심으로 강약구도가 고착화되고 있다. 정부는 한국이 드론 시장을 이끌어가려면 중장기 계획에 따른 범정부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계획안은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마련했다. 계획안은 지난해 총 704억원(제작 153억원, 활용 551억원)의 시장 규모를 2026년엔 제작 1940억원, 활용 6332억원 등 총 4조1000억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과 산업용 드론 6만대 상용화도 목표로 세웠다.

우선 선진국 대비 90%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에 2022년까지 약 1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공공 수요 창출을 통해 국내 시장의 초기 성장도 이끈다. 5년간 3012억원을 투입해 국가·공공기관에 3000여대의 드론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드론은 소나무 재선충 피해 조사나 실종자 수색을 위한 수색정찰 등에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급증하는 드론의 비행수요에 대비하고 150m 이하 저고도 공역의 교통관리를 위해 ‘하늘길’을 마련한다. 수송, 정찰·감시 등 장거리·고속 비행 드론을 위한 전용 이동로인 ‘드론 하이웨이’다. 정부는 비행수요가 많고 실증·운영이 용이한 거점지역을 권역별로 정해 이동방향·속도·비행수요 등에 따른 이동로를 선정, 관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437억원을 투입해 드론의 실시간 위치와 비행경로를 공유하는 드론 교통관리 시스템(UTM)도 개발한다. 드론의 안전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등록부터 자격·보험 등 운영, 말소까지 드론의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안전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이번 대책은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드론 산업 육성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약 16만4000명이 취업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도 각각 20조7000억원, 7조6000억원으로 예상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