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이원석)에 박근혜정부 시절 비리 관련 사건이 모이고 있다. 검찰 최고의 특수통이 모여 있는 특수1부는 늘 과거 정권 사정(司正) 수사의 선봉에 서 왔다. 문재인정부 들어 정권 차원의 적폐 수사가 특수1부에 연이어 배당되는 데는 이런 이유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8일 현재 특수1부는 최순실(61·구속 기소)씨 딸 정유라(21)씨 수사를 비롯해 국정농단 재수사와 연결되는 면세점 사업권 심사 비리 의혹, 최씨의 KEB하나은행 인사 청탁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다. 특히 최근 청와대 민정수석실 캐비닛을 열고 나온 다량의 문건들도 특수1부 책상 위에 쌓이고 있다. 전날 2차로 발견된 정무수석실 문건 수사 역시 곧 특수1부로 넘어올 예정이다.
국정농단 사건 공소유지로 바쁜 특수1부에 새로운 의혹까지 수사를 맡기는 데는 적폐 세력을 제대로 가려내겠다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수1부는 대검 중수부 폐지 이후 검찰의 가장 잘 벼린 칼로 불려 왔다. 전국 특수부의 맏형으로서 정부 차원의 사정 수사는 숙명 같은 과제로 여겨져 왔다. 지난 정부에서도 특수1부는 이명박정부 때의 4대강 사업 비리, 자원외교 수사 등을 맡아서 진행했다.
특수1부의 이번 청와대 문건 수사는 국정농단 관련자들을 총망라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내부적으론 단순히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공소유지에 도움을 주는 수준을 넘어서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성자, 작성 시기, 작성 의도 등 문건 성격을 명확히 규명해 국정농단 사건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의심을 받으면서도 법망을 피해간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다시 겨냥할 가능성도 크다.
이미 검찰은 민정수석실 전·현직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방침을 정했다. 한 검찰 관계자는 “문건을 들여다보는 것은 전 정부 청와대 인사 전반의 위법 행위를 보겠다는 뜻”이라며 “수사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감사원으로부터 넘겨받은 전 정부 면세점 사업권 심사 비리 의혹 역시 검찰에 수사 의뢰된 관세청 직원들을 시작으로 당시 관세청장, 기획재정부 1차관, 청와대 경제수석 등 지휘 라인을 따라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특수1부는 이미 지난해 박 전 대통령 뇌물 혐의 수사 과정에서 관세청과 기재부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이번에도 ‘특수1부’… 朴정권 비리사건 도맡아
입력 2017-07-19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