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9일 취임 후 첫 여야 5당 대표 초청 오찬회동을 갖기로 하면서 정국이 새 분수령을 맞게 됐다. 인사 문제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강성 발언 등으로 빚어진 야권 ‘국회 보이콧’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여야 간 앙금이 남아있고, 아직 풀지 못한 매듭도 많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은 14일 춘추관에서 오찬회동 추진을 설명하며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와 안보 상황을 상호 공유하고, 심도 있게 여야 당 대표들과 협의하는 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당 대표들은 모두 초청을 수락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도 “긍정적으로 검토해보겠다”는 답을 했다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한국당 관계자는 그러나 “홍 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문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지만 아직 청와대로부터 이렇다 할 반응도 없는 상황이어서 바로 초청에 응하기 어렵다”며 “17일쯤 참석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동은 국회 정상화가 가까스로 이뤄진 직후 추진돼 여야 간 협치를 복원하는 계기가 될지도 주목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영수회담 성격이 아니다. 국회 현안이나 일정과는 무관하게 외교안보 문제와 한반도 상황을 초당적으로 공유하고 의논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야권이 송영무 국방부 장관 임명 강행과 공직자 인사 배제 5대 원칙 위배 논란 등에 대한 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상황이어서 정국 현안 전반에 관한 논의도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정상화에도 불구하고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이 다시 불발됐고, 인사청문회를 앞둔 내각 후보자들도 상당수 남아있기 때문이다.
특히 보수야당은 이날도 문재인정부의 인사 문제에 대해선 비판을 거듭했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는 박상기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언급하며 “(문재인정부는) 어떻게 이처럼 문제 많은 분만 골라 지명하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로 화가 난다”고 했고,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도 “어디서 문제 있는 사람만 구하는지 의문이 들 정도”라며 “누군가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
글=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꽉 막힌 정국 ‘협치’로 나아가나
입력 2017-07-14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