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문제 대립… 野 “정부의 거짓말, 외교적 무능 노출” 맹공

입력 2017-07-14 18:15 수정 2017-07-14 21:31
미국 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권은 청와대를 상대로 일제히 공세에 나섰다.

반면 여권은 논평을 최대한 자제하며 정부 차원의 대응을 주시했다. 섣부른 대응이 야권을 자극하고 정책 이슈가 ‘정치 쟁점화’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홍문표 한국당 사무총장은 1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한·미 FTA 문제를 두고 ‘갈지자’로 속여 가며 포장해 왔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외교적 성과물을 만들기 위해 거짓말을 한 것”이라고 압박했다. 청와대가 FTA 개정 협상 이면 합의를 해 놓고도 방미 성과를 부각시키기 위해 숨겼다는 주장이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미국 상황과 입장 파악에 소홀했던 것이라면 문재인정부의 심각한 외교적 무능을 드러낸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양국 논의 내용을 낱낱이 밝히고 대응 전략을 세우라”고 했다.

보수 야당은 과거 민주당이 한·미 FTA에 반대했거나 재협상을 요구했던 점도 부각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2011년 한·미 FTA를 통과시켰을 때 민주당에서는 제2의 을사늑약이고 매국노라고까지 비난했다”면서 “제게 사과라도 한마디 하고 개정 협상을 시작해야 도의에 맞다”고 했다.

여권은 그러나 침묵 기조를 유지했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FTA 문제가 있어서 빨리 정부조직법이 처리돼야 통상교섭본부장을 임명할 수 있는 처지”라고만 언급했다. 야권에 대응할 경우 논란을 더 키울 수 있고, 미국과의 협상에서 불리한 국면을 조성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