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사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야권의 앙금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국회 정상화는 가까스로 이뤄졌지만 강경 발언을 쏟아냈던 추 대표를 향한 야당의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비대위 회의에서 “청와대가 추 대표 발언에 대해 사과한 이상 앞으로 국민의당은 추 대표의 어떤 발언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예 듣지도 않고 무시하겠다”고 말했다. 또 “문재인정부와의 대화 때는 동영상(장비)이나 녹음기를 설치해서 ‘자작 쇼’에 철저히 대비해야겠다”고도 했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전날 추 대표 발언에 유감 표명을 한 뒤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이를 부인하는 등 혼선이 빚어졌던 상황을 문제 삼은 것이다.
바른정당에선 추 대표 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위원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여야의 원활한 협치를 위해 추 대표의 즉각 사퇴를 촉구한다”고 했다. 이어 “청와대가 추미애를 이름 그대로 ‘애’라고 규정했다. 청와대가 추 대표의 유아적 리더십에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이날 추 대표는 청와대 ‘대리 사과’와 관련한 직접적인 발언을 내놓지 않았다. 추 대표는 제주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야3당 보이콧으로 중단됐던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재개를 환영한다”고만 했다. ‘머리 자르기’ ‘미필적 고의’ 등 연일 계속했던 국민의당 공격 발언도 중단했다. 추 대표의 강성 발언으로 국회 공전 상태가 초래됐다는 당 안팎의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추 대표는 제주도당 공로당원 표창 수여식에서 “요즘 제가 무슨 노림수가 있어서 이상한 말을 한다는 분이 있다”고 말했다. 자신이 제주4·3사건 특별법 제정에 앞장선 공로로 제주 명예도민증을 받은 사실을 거론한 뒤 “제가 계산을 하거나 자기 정치를 한다면 제주4·3사건 같은 일에 뛰어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또 “어느 한순간도 그렇게 살아오지도 않았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가 서울시장 출마 등을 염두에 두고 존재감을 부각하려고 강한 발언을 쏟아냈다는 데 대한 반박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추미애 패싱”… 단단히 뿔난 野
입력 2017-07-15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