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자진사퇴했다. 안경환 전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문재인정부 두 번째 장관 후보자 사퇴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여당의 제안을 받아들인 결과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야당이 반대해온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게는 임명장을 수여했다.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도 함께 임명장을 받았다. 문 대통령이 협치의 숨통을 틔우면서 경색됐던 국회 운영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 후보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본인의 임명 여부가 정국 타개의 걸림돌이 된다면 기꺼이 사퇴의 길을 택하겠다”며 “이 선택이 부디 문재인정부 성공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의 결정은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긴급 회동한 직후 나왔다. 우 원내대표는 야권과의 협상 결과를 문 대통령과 논의한 뒤 일부 장관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전달했고, 문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였다.
앞서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도 국민의당 지도부를 찾아 추미애 민주당 대표의 ‘머리 자르기’ 발언에 유감을 표명했다. 국민의당은 임 실장의 사과를 받아들여 추경 심사 등 국회 의사일정 복귀를 결정했다. 현재 추경 편성안은 심사가 중단됐고, 정부조직법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도 통과하지 못했다. 오는 18일 본회의 통과에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14일 각각 회의를 열어 국회 정상화와 관련한 최종 입장을 정할 방침이다. 한국당이 요구하는 문 대통령의 사과나 유감 표명이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조 후보자 임명 강행 입장을 바꾼 만큼 야당도 국회 정상화에 합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 대통령은 송 장관 임명장 수여식에서 “안보 상황이 과거 어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에서 오랫동안 새 국방부 장관을 임명하지 못해 사실 애가 탔다”며 “국방개혁은 우리 정부가 꼭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방개혁 전반에 걸쳐 군을 개선한다는 차원을 넘어 완전히 우리 군을 환골탈태한다는 생각을 당부드린다”고 주문했다.
강준구 하윤해 기자 eyes@kmib.co.kr
‘趙 사퇴·宋 임명’ 불통정국 숨통
입력 2017-07-13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