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3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국회 정상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청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를 요구한 야당 입장을 일부 수용할 것을 건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숙고하겠다”며 여지를 남겼다.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시급한 추경과 정부조직법 처리 등 국회 정상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취해주면 책임 있게 국회를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최소한의 조치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면서도 “결국 대통령이 인사권을 갖고 있는 만큼 청와대에서 결정할 문제이고 당은 건의만 했다. 야당 입장과 당내 의견을 종합적으로 충분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우 원내대표의 회동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대리 사과’ 직후 결정됐다. 임 실장은 오전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을 찾아가 “국민의당에 걱정을 끼쳐 죄송하다. 진심으로 유감을 표명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후 국민의당은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추경안 심사 등 국회 일정에 참여키로 결정했다. 최명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추미애 민주당 대표의 ‘머리 자르기’ 발언으로 초래된 국회 공전 사태에 대해 임 실장을 통해 사과의 뜻을 전해 왔다. 존중한다”며 “추경 심사와 정부조직법 개정안 심사, 인사청문회 등 국회 일정에 협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이 ‘국회 보이콧’을 풀기로 하면서 추경안 심사는 급물살을 타게 됐다. 민주당은 지난 10일 야3당이 불참한 가운데 국회 예결위 전체회의를 열고 추경안을 상정한 상태다. 민주당 소속 예결위원 20명에 국민의당 예결위원 7명을 더하면 의결정족수(재적 50명 중 과반인 25명)를 충족한다. 다만 추경안이 본회의에 상정되더라도 민주당 단독으로는 이를 처리하지 못해 야권의 협조는 필요하다. 특히 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송·조 후보자 임명 문제와 관련한 청와대의 행동을 지켜보고 대응 수위를 정한다는 입장이어서 문 대통령의 결단에 따라 국회 정상화 여부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민주당 “野 입장 일부 수용” 靑에 요청… 文대통령 “숙고하겠다”
입력 2017-07-13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