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가야제국 복원을 위해 영·호남 석학들이 머리를 맞댔다. 경남도는 경남발전연구원과 13일 ‘영·호남의 가야사 석학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다. 가야유적의 발굴·복원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향후 발전적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자리다. ‘가야사 연구 복원사업’ 선점을 위해 경남도가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일 문재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가야사 연구 복원사업’을 언급한 데 따른 조치다.
이날 세미나에는 도와 시·군 가야사 담당 공무원,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단,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국내 가야사 연구를 주도하는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김삼기 소장이 ‘백제·신라 왕도 조성 추진 사례로 본 가야사 복원방안’을 강의했고, 군산대 사학과 곽장근 교수는 ‘호남 동부지역 가야문화유산의 현황과 그 의미’를 주제로 특강에 나섰다.
김 소장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백제와 신라처럼 유적정비를 위해 국가지원, 토지매입, 발굴조사 이후 고증, 심화연구를 통한 가야사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며 “그 다음으로 복원정비가 이뤄져야 되기 때문에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원광대 최완규 교수는 ‘백제 유적의 보존과 활용 사례로 본 가야사 복원의 방안’을 제시했고, 창원대 사학과 남재우 교수는 ‘가야사 연구와 복원을 위한 지자체의 올바른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남 교수는 “성급한 복원보다 기본계획을 마련한 뒤 장기적이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가야사를 연구하고 문화유산을 보존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번 세미나가 향후 올바른 가야사 복원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해 가야유적 발굴·복원·활용 방안 강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인모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가야사 연구 복원사업의 본격 추진에 대비해 도의 기본계획 수립과 영·호남 지자체와 협력체계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지난 5월 가야사관련 6개 사업을 국정과제로 채택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한데 이어 지난달 8일 가야사 복원사업 세부과제 32건 추가 발굴과 해당사업의 학술적·역사적 가치 등에 대해 검토 중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가야사 복원 본격화… 영·호남 석학들 모였다
입력 2017-07-1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