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宋·趙-추경-정부조직법 ‘교집합’ 찾아라”… 민주, 靑·野로 ‘동분서주’

입력 2017-07-13 05:00

청와대가 제시한 ‘협상 데드라인’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더불어민주당 원내 지도부는 청와대와 여당, 야3당이 합의할 수 있는 ‘교집합’ 마련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는 일말의 협상 여지에 기대고 있지만, 청와대는 여야 합의안을 보고 나서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송영무(국방부) 조대엽(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인한 인사 난맥을 풀고, 7월 임시국회 내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일괄타결하는 것이 목표다. 추경안을 오는 18일 본회의에서 처리하려면 최소 4일 전에는 추경안 심사를 본격 개시해야 한다. 사실상 14일이 청와대가 정한 협상시한인 셈이다.

문제는 청와대와 야3당 모두 강경 입장에서 한 치의 물러섬이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2일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의) 협상 결과가 원칙에 안 맞으면 받을 수 없다”며 “우 원내대표가 시간을 달라고 했으니 저희는 어떻게 협상해 오는지를 보고 다시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사 문제와 관련해서도 “문재인 대통령은 인사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보고 있다. (두 후보자가) 장관직을 잘 수행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일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 관련 얘기는 청와대에서 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추경안 및 정부조직법 개정안 심사와 관련한 야3당의 적극적 협력 의지가 없을 경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이다. 다만 이 관계자는 “원칙에 안 맞으면 받을 수 없다는 말은 원론적 얘기”라며 “당청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상의 공간은 많지 않지만 포기하기는 이르다는 것이 민주당 원내 지도부의 판단이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전날 야3당 지도부와 접촉한 결과 ‘두 명 모두 지명철회해야 한다’는 입장과 ‘둘 중 하나를 물리면 논의해 볼 수 있다’는 입장이 공존한다”며 “각 야당의 입장 가운데 공통부분을 찾아내 청와대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지도부 인사도 “다양한 단위에서 접촉이 이뤄지고 있고, 협상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민주당과 정의당, 여권성향 무소속 의원 수를 감안하면 야3당 가운데 일부의 협력만 얻어내도 시급한 현안 처리는 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나 보수야당은 ‘송영무·조대엽 임명 불가’라는 명시적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고 있다. 자유한국당 원내 관계자는 “청와대가 두 후보자 임명을 강행한다면 국회 일정 자체에 협력할 수 없다”며 “야당과 협치하지 않겠다는데 우리가 들러리 설 필요가 없지 않으냐”고 말했다. 한국당은 추경안에서도 ‘공무원 증원 예산’을 반드시 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바른정당 관계자도 “인사문제가 해결돼야 다른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당초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공식 사과하고, 청와대가 전향적 입장을 보인다면 국회 정상화 논의에 참여할 수 있다는 분위기였지만, 상황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추 대표가 사과할 가능성은 제로”라며 “이미 의원들 감정이 많이 상했고, 더 잃을 게 없는데 여당에 협조할 이유가 없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우 원내대표의 면담 요청을 거부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진정성을 갖고 만나려는 게 아니라 노력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이려는 것”이라며 “진정성 없는 언론플레이에 질렸다”고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최승욱 이종선 김판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