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기질 개선 예산 처음 1000억 넘었다

입력 2017-07-13 05:00
서울시가 대기질 개선 사업의 추경예산을 대폭 늘려 ‘미세먼지 예산’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시는 내년에는 더 많은 예산을 편성해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대기질 개선 사업 331억원 등 총 2조313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추경이 더해짐에 따라 올해 서울시의 대기질 개선 관련 6개 사업 예산은 총 1001억원으로 늘어났다. 특히 노후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사업에 252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시는 올해 832억원을 투입해 현재 운행 중인 노후 경유차 6400여대에 대한 저감장치 부착, 엔진 교체, 조기 폐차 등을 추진한다.

시는 또 어린이 통학용 노후차량의 LPG 신차 구입비 지원에 40억원, 지난 5월 광화문광장 미세먼지 토론회 직후 발표한 ‘대기질 개선 10대 대책’에 포함된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설치 지원에 11억원을 새로 편성했다. 공기청정기가 없는 어린이집에는 평균 3대의 공기청정기 대여료를 3개월간 지원하고,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어린이집에는 공기청정기 관리비를 지원한다. 도로분진 청소차량 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예산도 24억원 증액했다.

장혁제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정부가 편성한 11조2000억원 규모의 일자리 추경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일자리와 민생, 대기질 등에 초점을 맞춰 추경예산을 편성했다”면서 “특히 일자리 분야에 1351억원을 우선 편성해 청년부터 여성, 노인까지 전 세대에 걸쳐 1만300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일자리 추경예산은 보육돌봄서비스 교직원 처우개선 등 233억원, 어르신 사회활동 지원 88억원, 베이비부머 보람일자리 지원 30억원, 종합사회복지관 인력 증원 25억원, 여성 새로 일하기센터 지정 운영 7억원 등이다.

이번 추경 중 절반이 넘는 1조1208억원은 자치구(5323억원)와 교육청(5885억원)에 교부된다.

조인동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자치구 교부금이 늘어나 가용자원이 늘어나면 각 자치구가 도시재생, 사회서비스, 생활안전 등 현장에서 필요한 일자리 사업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며 “자치구가 필요한 일자리 사업을 기획하면 공모와 심사를 거쳐 적정 사업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자치구가 현장수요 중심으로 일자리를 새로 발굴하면 시가 지원하는 ‘상향적·협력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100억원을 처음 편성했다. 시는 여기서 주로 청년층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