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도하는 ‘블라인드 채용’ 방식이 지방공공기관 전체로 확대된다.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에 학력, 출신지역, 신체조건, 사진 기재란을 없애 지원자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채용방식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하반기부터 공무원과 공공부문에 도입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행정자치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노동부와 함께 지방공기업 및 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 지침’을 안내하고 교육했다고 밝혔다. 지침은 663개 지방 출자·출연기관이 지방공기업을 준용해 자치단체별로 교육한 후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이행토록 권고하고 있다. 149개 지방공기업에 대해서는 8월부터 이행하도록 이미 지침을 안내한 바 있다.
행자부는 지침에서 증빙서류는 합격 결정과 관련 있는 경우 외엔 최종 합격자 발표 전 요구할 수 없도록 했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직무능력 중심 채용 경향을 공유하고 공정한 실력평가를 위한 직무기술서 사전 공개, 체계화된 면접의 필요성 등을 설명했다. 변성완 행자부 지역경제지원관은 “모든 지방공기업과 지방 출자·출연기관에서 블라인드 채용이 이행될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블라인드 채용’ 지방공공기관 전체 확대
입력 2017-07-12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