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여전히 고공행진… 6월 7.8조↑

입력 2017-07-12 18:20
금융권 가계부채가 지난달에만 7조8000억원 늘었다. 올해 상반기 증가 규모는 40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50조4000억원)에는 못 미치지만 여전히 막대한 규모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은 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6·19 부동산대책이 본격 시행되기 전에 막바지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11월(6조1000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달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도 지난 5월보다 6조1000억원 늘었다. 지난 5월에는 6조3000억원 증가했었다.

지난 3일부터 서울 등 청약조정지역 40곳의 대출규제가 강화되자 규제 시행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매매량은 4만7000건, 서울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만5000건으로 올 들어 가장 많았다.

다만 금융위는 지난 5∼6월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 규모(12조4000억원)가 2015년 5∼6월(15조5000억원)이나 지난해 5∼6월(13조2000억원)과 비교해 둔화됐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전체 금융권의 가계부채 증가 규모(7조8000억원)도 지난해 6월(11조6000억원)에 비해 증가세가 꺾였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같은 숫자를 두고 다소 시각차를 드러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은행 가계부채가 지난 5월에 이어 큰 폭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지난해 6월에 비해 둔화됐다는 점을 강조한 반면 한은은 증가 규모 자체는 여전히 크다는 데 주목한 것이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 당국이 올해 가계부채 규모를 계속 지난해와 비교해 둔화됐다고 평가하고 있는데, 유례없는 폭증 시기였던 지난해와 단순 비교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에 따르면 사실상의 가계부채로 간주되는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잔액도 지난달 272조6000억원으로 한 달 만에 2조5000억원 늘었다. 2015년 10월(2조9000억원) 이후 20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대출을 받아 부동산에 투자한 입대업자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통상 하반기에 가계부채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고, 향후 금리 상승에 따른 상환부담 증가 우려도 상존하고 있다”며 “리스크 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관계부처와 함께 다음 달에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자영업자 대출 관리방안도 담길 예정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