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3당은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이 송영무(국방부)·조대엽(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임명을 연기한 것을 일제히 ‘꼼수 정치’로 규정하며 강력 반발했다. 야당 설득을 명분으로 시간을 벌며 여권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야3당은 송·조 후보자 모두 임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결국은 (송·조 후보자를) 임명할 수밖에 없다는 여론을 끌어내기 위한 술수정치, 꼼수정치, 잔수정치”라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가 잔재주와 꼼수를 부려 야당을 테스트하려 하거나 여당 대표가 야당 분열을 노리고 있다. 대단히 교만한 권력의 꼼수”라고도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청와대와 여당의 임명 연기 논의를 거론하며 “의도적인 핑퐁(탁구)치기다. 우리 의사를 떠보는 애드벌룬(풍선) 수준의 무게 없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한국당은 의원총회에서 ‘송·조 후보자 중 한 명이라도 임명돼선 안 된다’는 당론을 재확인했다.
바른정당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여당을 중심으로 한 후보자만 지명 철회하면 안 되겠느냐고 의사타진 중이라는데 이는 꼼수 중의 꼼수”라며 “급할수록 돌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당은 ‘야당 갈라치기’를 의심하며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여당이 국민의당만 빼고 보수야당과 ‘딜’을 시도한다는 주장이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에는 (임명 연기에 관한) 어떤 연락도 없었다”며 “적폐 세력, 국정농단 세력과 인사 문제를 흥정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3당은 추가경정예산안(추경)과 정부조직법 처리 지연 책임을 모두 여권에 돌렸다. 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이 부적격 인사를 강행하려는 데 일차적 책임이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추경 처리 등 시급한 현안을 인사 문제에 연계해선 안 된다는 취지의 문 대통령 국무회의 발언에 동의할 수 없다는 얘기다. 야권 관계자는 “그동안 협치 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청와대가 송·조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면 곧바로 국회 정상화는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막판 극적 합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야권 내부에서는 “극한 대립 국면이 지속될 경우 발목 잡는 야당이라는 역풍을 맞는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야3당 공조가 무너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보수야당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임명 사례 등을 들며 ‘국민의당 변심’을 우려하고 있다. 이날 국민의당 의원총회에선 “정부조직법 개정에는 협조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무조건 국회 일정을 보이콧하겠다는 얘기는 아니다”며 “청와대와 여당이 얼마나 협치 의지를 보이느냐를 보면서 향후 대응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국민의당 협조만으로 경색 국면이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김경택 이종선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宋·趙 다 퇴장시켜라” 독오른 3野… 긴장의 ‘임명 정국’
입력 2017-07-12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