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야당이 추경(추가경정예산)과 정부조직개편을 인사 문제나 정치 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며 야권의 국회 일정 보이콧 움직임을 비판했다. 귀국 직후 임명이라는 당초 방침을 바꿔 송영무(국방부)·조대엽(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임명은 보류했지만 사실상 이번 주를 데드라인으로 설정하고 야권을 압박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독일에서 귀국한 뒤 주재한 첫 국무회의에서 “외교무대에서 워낙 많은 일이 있어 많은 시간이 흐른 느낌인데 막상 귀국해보니 국회 상황은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한 국제기구들은 한결같이 세계 경기가 회복세에 있다고 진단했다. 재정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모든 국제기구가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것을 들었다”며 “우리의 추경은 그 방향에 정확하게 부합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경과 정부조직개편만큼은 야당이 대승적으로 국가를 위해 협조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송영무·조대엽 장관 후보자 임명을 보류하고 국회에서 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된 정현백(여성가족부) 유영민(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임명장 수여식도 미뤘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전날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국회 정상화를 위해 시간을 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임명 연기 시한’은 이번 주로 못 박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여야에 해외 순방 결과를 설명하는 일을 이번 주 중 마무리해야 한다. 다음 주로 넘어가는 건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야3당은 송·조 후보자 임명 연기를 일제히 ‘꼼수 정치’라고 비난했다. 야당은 두 후보자 모두 ‘부적격’으로 규정하며 자진사퇴 또는 지명철회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오히려 두 후보자에 대한 임명 연기 등을 여론을 떠보기 위한 정치공학적 접근으로 보고 대여 투쟁 수위를 높이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문 대통령이 단지 임명 명분을 쌓기 위해 시간만 끌다가 임명을 강행하면 7월 임시국회는 파국으로 끝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추가적인 여야 협상 시간을 마련해보려는 것을 꼼수라고 공격하는 것은 해도 해도 너무한 것”이라며 “무조건 야당의 일방적인 입장을 관철시키려 하는 자세로는 대화가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강준구 이종선 기자 eyes@kmib.co.kr
靑 ‘송-조 임명’ 일단 연기 野3당 “꼼수 정치” 반발
입력 2017-07-11 18:26 수정 2017-07-11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