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을 수주일 안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표결에 부친다는 방침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최근 유엔 외교관들에게 시간표를 제시하며 대북제재 결의안 표결을 강행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신규 제재안이 최소한 지난해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안보리 제재안보다는 빨리 채택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시 제재안은 핵실험 82일 만에 채택됐다.
AP통신은 미국이 대북제재 결의안을 초안 형태로 중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다른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회람시켰다고 보도했다. 초안에는 원유공급 차단, 북한 노동자 송출 제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 7월 의장국인 중국의 류제이 유엔주재 대사는 “대북제재 결의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 때문에 제재안이 안보리 표결에 부쳐지면 중국이나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채택이 무산될 수도 있다. 미국은 이 경우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 은행을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올 들어 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석유 수출액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러시아 연방세관 자료를 분석해 보도했다.
VOA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러시아의 대북 석유 수출액은 230만 달러(26억5000만원)로 전년도 같은 기간 74만 달러(8억5000만원)에 비해 3.1배 늘어났다. 수출량은 41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600t)보다 2.5배 이상 증가했다. 항공유와 제트연료를 제외한 원유와 석유제품은 유엔의 대북제재 품목이 아니다.
한편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美, 새 대북제재 결의안 수주 내 표결 강행
입력 2017-07-11 18:12 수정 2017-07-11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