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조작’ 파문… 국민의당 ‘안철수 정계 은퇴론’ 시끌

입력 2017-07-11 05:00
장정숙 국민의당 의원(단상 마이크 앞)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당 의원들과 함께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과 및 대표직 사퇴, 문준용씨 특혜취업·제보조작 동시 수사 특검제 도입을 주장하는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안철수 전 대선 후보가 문재인 대통령 장남 준용씨 특혜취업 의혹 제보조작 사건 책임을 지고 정계를 은퇴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민의당 대선평가 토론회에서 나왔다. 토론회에선 안 전 후보와 국민의당의 전략 부재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강경태 신라대 국제학부 교수는 10일 국민의당 대선평가위가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대선평가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해 “안 전 후보가 결자해지를 위해 정계를 은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에게 사과하고 장기 해외 체류로 자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도 말했다. 노동일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전략을 잘 짰다고 안 전 후보가 당선됐겠느냐. 후보의 상품성,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대선 당시 당 선대위가 타깃 지지층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최악의 위기에 몰린 국민의당은 제보조작 사건과 준용씨 특혜취업 의혹을 동시에 다루는 특검 도입을 공식 제안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취업비리 의혹과 조작 사건의 동반 특검을 제안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국민의당은 결의문을 통해 “권력 눈치 보기에 급급한 정치검찰의 무리한 법 적용을 규탄한다”며 “이미 과잉충성으로 신뢰를 상실한 정치검찰이 아닌 특검을 통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과와 대표직 사퇴도 거듭 요구했다.

보수야당도 특검 도입 주장에 동조하고 나섰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최근 여당 대표가 하는 말은 본말이 전도된 이야기”라고 말했다. 이어 “본질은 (준용씨) 특혜 여부가 있었느냐는 것”이라며 “이 정부가 이런 문제의 본질을 덮고 가려는 것은 잘못됐다”고 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도 “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과 증거 조작 사건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라며 “두 문제는 중립적인 특검에 맡겨 수사하고 결론을 내야만 국민이 납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준용씨 특혜취업 의혹 특검 도입 여부는 미지수다. 준용씨 한국고용정보원 채용 시기는 2007년 초이기 때문에 공소시효를 이미 넘겼다는 지적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당이 ‘물타기 카드’로 특검 도입을 들고 나왔다는 의구심이 많다. 보수야당 역시 여야 대치 정국에서 주도권을 잡으려고 특검을 주장한다는 평가다.

이날 국민의당은 당무위원회를 열고 오는 8월 27일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임시 전당대회를 열기로 했다. 새 지도부는 대선 패배 책임을 지고 사퇴한 박지원 전 대표 잔여 임기인 2019년 1월까지 당을 이끌게 된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