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정부 동북아 금융허브론 꺼내든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입력 2017-07-10 19:18 수정 2017-07-10 22:58

황영기(사진) 금융투자협회장이 노무현정부에서 추진했던 ‘동북아 금융허브’를 다시 꺼내들었다. 새 정부가 노무현정부를 계승하는 만큼 당시 경험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우리 금융시장을 ‘특성화 금융 중심지’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황 회장은 10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동북아 금융허브라는 구상이 나온 뒤 10년이 지났지만 제대로 된 게 없다. 외국계 은행과 자산운용사들이 철수하는 상황까지 올 정도로 (자본시장이) 정체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자산운용시장, 펀드시장이 이만큼 컸으면 과거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서 새로운 금융허브 전략을 세울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새로운 금융허브는 과거처럼 ‘종합 금융허브’보다 자산운용사 중심의 금융허브로 방향 설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외국) 자산운용사들이 들어오면 생태계가 생긴다”면서 “자본시장뿐 아니라 고용 등 경제 전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회장은 금융위원장 임명에 맞춰 정책을 제안할 계획도 내비쳤다. 그는 “지난 1년간 증권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연구했다”면서 “국내외 증권사 실무진 면담 등을 거쳐 깊이 있게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르면 이달 중으로 조사 결과를 금융 당국과 업계에 공유할 계획이다.

황 회장은 퇴직연금제도 개편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했다. 현재 기금형 퇴직연금제도(퇴직연금 적립금을 기금에 신탁해 운영하는 방식)는 법제처 심사를 받고 있다. 황 회장은 “현재 퇴직연금은 원금 보장에 치중하다보니 운용수익률이 1% 안팎에 그친다”면서 “호주처럼 노사가 공동 운용하는 수탁기관을 만들어 퇴직연금을 쌓아둔 기금들이 더 커질 수 있도록 기금형 퇴직연금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