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비정규직 725명 정규직 전환

입력 2017-07-10 18:22

제2금융권인 새마을금고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적극 동참키로 했다. 전체 비정규직의 절반가량인 725명을 2019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해 비정규직 비율을 3.4%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문재인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시대’ 방침에 씨티은행과 기업은행 등 은행권이 호응하고 있는 가운데 새마을금고도 동참을 선언한 것이어서 정규직 전환 움직임이 제2금융권으로도 확산될지 주목된다.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새마을금고 지도·감독기관인 행정자치부는 전국 1321개 단위금고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인력 가운데 72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새마을금고 직원은 1만6523명이며 이 가운데 비정규직은 1288명(7.8%)이다. 정규직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인력은 창구수납업무 등 상시·지속성이 필요한 직무 종사자들로 전체 비정규직의 56.3%를 차지한다.

행자부 관계자는 “전환 대상은 지역단위 새마을금고가 정규직으로 전환이 필요하고 가능하다고 파악해 보고한 인원을 집계한 것”이라며 “단위금고의 재원 마련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해 전환시기와 인력규모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들은 3년 내에 시험을 통해 일반직으로 전환되거나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올해는 시험을 통해 일반직 전환을 유도하고 내년부터는 인사규정을 개정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시키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비정규직은 계약기간 2년이 지나면 일부만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고 대부분은 계약이 해지됐다.

앞으로는 근속기간 2년이 되지 않았더라도 자동으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는 직원들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따라 일반직과 동일한 보수체계가 적용된다.

행자부는 이렇게 되면 단순 업무, 단기 종사자 등을 제외한 비정규직의 대부분이 정규직으로 전환돼 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직원 상호 간 이질감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이번 조치에 포함되지 못한 나머지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고용조건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육아휴직 대체인력이나 파출업무, 공제청약, 경비 등 특성상 정규직 전환이 어려운 직무 종사자들이 해당된다.

심보균 행자부 차관은 “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에 맞춰 산하기관을 비롯한 피감독기관들에 대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며 “정규직 문화가 우리 사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