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은 9일 검찰의 이준서 전 최고위원 사전 구속영장 청구로 하루 종일 부산스러웠다. 예정에 없던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했으나 뾰족한 해법은 나오지 않았다. 연일 지지율 최저치를 경신 중인 국민의당은 두 가지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일단 검찰 수사를 “정치적 의도가 개입돼 있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국민의당은 영장 청구 소식이 전해진 이날 오후 긴급 지도부 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과 김동철 원내대표, 이용호 정책위의장 등 당 지도부와 비대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됐다.
김유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검찰의 구속영장 내용은 당 진상조사단의 조사 결과와 사실관계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당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란 일부 주장은 악의적 정치 공세임이 분명해졌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그럼에도 검찰이 이 전 최고위원에게 미필적 고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자의적 판단이며, 과잉·충성 수사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사법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했다. 검찰이 미필적 고의라는 법적 판단을 적용했을 뿐 ‘이유미씨 단독 범행’이란 사실엔 변함이 없다는 항변이다. 특히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형사 책임이 있다” 발언 이후 검찰이 영장을 청구한 것은 무언가 수상하다는 뜻도 담겨 있다. 이언주 원내수석부대표도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이 이유미 단독범행 이상의 증거를 찾지 못하자, 추 대표가 ‘조직적 범죄다. 모를 리 없다.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꼬리 자르기식’ 셀프 조사 결과를 발표해 놓고, 검찰의 수사 결과가 다르다고 ‘충성수사’ ‘정치검찰’ 운운하는 것은 전형적인 물타기이자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박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문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이 이번 사태의 몸통이며 제보조작 수사로 본질이 덮여서는 안 된다”며 국회 차원의 특검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두 번째 카드는 ‘안철수당’을 탈피하는 전당대회다. 국민의당은 10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 준비에 착수한다.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통해 당을 혁신하고 분위기를 일신하겠다는 취지다.
이번 전대는 ‘당 쇄신’에 방점이 찍혀 있다. 대선 패배 이후 ‘안철수당’을 탈피할 새로운 리더십을 구축해보자는 것이다. 당내 거물급 중진과 신진 기수들이 대립구도를 형성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대선 경선에서 고배를 마신 천정배 전 대표와 정동영 의원의 등판이 유력하다. 올 초 전당대회에 출마했던 문병호 황주홍 전 최고위원의 재도전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각에선 이언주 원내수석부대표, 정호준 비대위원 등이 ‘40대 기수론’과 함께 혁신을 주장하며 출마를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글=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결국 꼬리 자르기?… 배후 없다던 국민의당 ‘당혹’
입력 2017-07-10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