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委’ 위원 9명 선정 착수

입력 2017-07-07 21:52
정부가 ‘신고리 원전(原電)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9명으로 구성하기로 하고 위원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국무조정실은 7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위원회 구성 원칙과 절차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위원장에는 중립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덕망 있는 인사를 위촉할 방침이다. 나머지 8명의 위원은 인문사회, 과학기술, 조사통계, 갈등관리 분야에서 추천받아 선임한다. 사회적 합의를 원만하게 이끌어낼 수 있도록 원전 찬반 양측이 수용할 수 있는 인사들로 구성하면서 남녀 균형을 맞추고 20, 30대를 반드시 포함시키기로 했다.

국무조정실은 우선 분야별 전문기관과 단체로부터 3명씩 추천받아 1차 후보군을 꾸린다. 기관 추천 3인 중 여성이 1명 이상 포함돼야 한다. 인문사회 및 과학기술 분야는 20, 30대를 1명씩 넣도록 했다. 이후 후보군을 대상으로 원전 관련기관의 제척 의견을 수렴한 뒤 국무총리가 최종 위원을 선임한다. 국무조정실은 후보군 명단과 제척 인사는 공개하지 않고 확정된 위원만 발표키로 했다.

위원회는 3개월 동안 전문가 토론, 자료집 제작 등 여론 수렴을 진행하게 된다. 위원회가 공사 중단 여부를 결정할 권한은 없다. 최종 판단은 시민배심원단에 맡기기로 했다.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정부는 지난달 27일 문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일시중단하고 공론화 과정을 거쳐 재개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신고리 5·6호기는 지난해 6월 착공해 공정률 28.8%, 공사비 1조6000억원이 들어간 상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