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까지 멈춰 세운 秋 대표의 돌출 발언

입력 2017-07-07 18:18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돌출 발언으로 국회가 멈춰 섰다. 추 대표는 6일 ‘문준용 제보 조작 사건’과 관련, “박지원 전 대표와 안철수 전 후보가 몰랐다는 건 머리 자르기”라고 했다. 국민의당은 모든 국회 일정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추 대표의 사과와 대표직 사퇴를 요구했다. “앞으로 ‘추’자가 들어가는 건 다 안 된다”고 할 정도니 분노의 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추 대표도 물러서지 않았다. 7일 “북풍 조작에 버금가는 것”이라고 했다. ‘형사법적 미필적 고의’라며 박 전 대표와 안 전 후보의 형사적 책임까지 언급했다. 사과 요구는 무시해 버렸다. 이에 따라 7월 임시국회 내 추경안 처리는 쉽지 않아 보인다. 송영무 국방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임명 문제 등도 걸려 있어 국회 공전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당내 조율을 거치지 않은 추 대표의 튀는 발언이 정국을 시계 제로 상황으로 몰고 간 셈이다.

추 대표의 설화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주한 중국대사와의 면담에서 “사드 실용성이 정치·외교적으로 과장돼 있다”고 했다. 지난달 27일에는 “사드 때문에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여당 대표의 발언으로선 위험하고도 무책임한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사드 배치는 한국의 주권 사안”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식과도 결을 달리한다. 지난달 23일에는 자유한국당의 5행시 이벤트에 직접 참여해 한국당을 비난했다. 협치를 강조해도 모자랄 판에 사사건건 야권을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여소야대 구도에서 야권의 협조를 구하는 것은 필수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 대표가 야권 비난에 앞장서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문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걸림돌이 될 뿐이다. 여당 대표로서의 자질과 능력에 의심이 들 정도다. 10년 야당 시절의 ‘한건주의’ 사고는 버려야 한다. 무게감 있고 정제된 언어를 통해 야권의 협조를 구하는 게 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