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만날 용의”… ‘뉴베를린 선언’ 발표

입력 2017-07-06 21:52 수정 2017-07-06 23:16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옛 시청에서 열린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 구상을 설명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 국면을 전환할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평화 구상을 담은 ‘뉴베를린 선언’을 발표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는 정상회담을 전격 제의했다.

문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옛 시청에서 열린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에서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노력을 계승하는 동시에 대한민국의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한반도에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담대한 여정을 시작하고자 한다”고 선언했다.

문 대통령은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국면을 전환시킬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면서 “핵 문제와 평화협정을 포함해 남북한의 모든 관심사를 대화 테이블에 올려놓고 논의할 수 있다. 북한의 결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북관계 개선의 마중물로 민간 교류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특히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하는 것은 물론 성묘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올해는 10·4 정상선언 10주년이다. 또 10월 4일은 우리 민족의 큰 명절인 추석”이라며 “민족적 의미가 있는 두 기념일이 겹치는 이날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한다면 의미 있는 출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한 걸음 더 나아갈 용의가 있다면 이번 이산가족 상봉에 성묘 방문까지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며 “만약 북한이 당장 준비하기 어렵다면 우리만이라도 북한 이산가족의 고향 방문이나 성묘를 허용하고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휴전협정 64주년인 오는 27일을 기해 군사분계선에서 상호 적대행위를 중지할 것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한다면 긴장을 완화하는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 평화협정이 아닌 관련국 모두가 포함된 한반도 평화협정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종전(終戰)과 함께 관련국이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제안이 북한에 주어진 마지막 기회라는 점도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ICBM 도발에 대해 “북한의 이번 선택은 무모하다”며 “국제사회의 응징을 자초했고, 우리 정부의 의지를 시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지 않기를 바란다. 바로 지금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이제 북한이 결정할 일만 남았다. 북한이 매우 중대하고 긴급한 신호로 받아들일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베를린=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