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일자리 창출 지원·우수 정책 공유한다

입력 2017-07-06 19:27
제24회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가 6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앞줄 왼쪽에서 7번째) 취임 후 처음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앞줄 오른쪽에서 6번째)과 전국 시·도 부단체장들이 참석했다. 행정자치부 제공

광주광역시는 ‘광주 청년드림(Dream)’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의 미취업 청년들이 미래 비전을 찾고 정착할 수 있도록 4개월간 구직활동 비용과 함께 주 25시간의 일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 5월부터 84개 사업장과 기관에서 청년 140명이 현장 역량을 쌓고 있으며 이 가운데 11명이 해당 사업장에 정규직으로 채용됐다.

경북도는 도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에 주 4일 근무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근무 일수가 적은만큼 임금은 주5일 근무하는 직원들의 80%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달 경북테크노파크 등 일부 기관을 대상으로 시범도입한 후 내년에는 도내 30개 공공기관으로 주4일 근무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절감된 인건비로 400명을 추가 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북도는 치매환자 치유와 일자리 나누기를 결합한 ‘돌봄농장’과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시청년 시골 파견제’도 추진할 계획이다.

행정자치부와 고용노동부, 일자리위원회는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실에서 ‘제24회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열어 이 같은 우수 일자리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의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앙과 지자체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새정부 들어 처음 열린 이번 회의는 지난달 14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도시자 간 간담회에서 주요 주제로 논의된 일자리 창출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리로 김부겸 행자부 장관,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17개 시·도 부단체장 등이 참석했다.

경북도, 광주광역시 등을 비롯한 일부 시·도는 이날 지역 일자리 사업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중앙부처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주력산업인 조선업이 위기에 빠진 울산시는 대형프로젝트 공사를 통한 일자리사업과 조선업구조조정펀드 등을 통한 창업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경기도는 청년고용지원플랫폼과 일하는 청년통장 등의 청년일자리 정책을 발표했다.

행자부는 공공무문 일자리 확대, 일자리 중심 행정·평가체계 구축, 지방규제 개혁 등을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용섭 부위원장은 새 정부의 일자리정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지자체에 일자리 창출 및 개선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할 것을 요청했다.

김부겸 장관은 “지자체 간 선의의 경쟁과 상호 학습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창의적인 일자리 사업들이 많이 추진되길 바란다”며 “중앙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성공하려면 지방의 적극적인 이행과 동참이 필요한 만큼 모든 정책을 일자리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