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자사고 등은 학교와 학생을 계층화, 서열화하는 만큼 근본적으로 사라져야 합니다.”
이재정(사진) 경기도교육감은 6일 취임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외고와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은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혁신해야 할 교육과제”라며 외고·자사고 폐지 의지를 재확인했다.
외고·자사고 폐지 문제에 있어서는 이 교육감이 선봉에 서는 모양새다. 그동안 외고와 자사고의 폐단을 앞장서 지적했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지난달 5개 외고·자사고·국제중을 재지정함으로써 한발 물러선 반면 이 교육감은 흔들림 없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교육감은 “외고와 자사고 대부분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있고 나머지 지역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며 “다른 지역의 인재가 오히려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만큼 지방분권 시대에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국적으로 (폐지를) 공개적으로 논의하면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 교육감은 “외고와 자사고가 설립 목적을 잃고 소위 ‘입시 명문고’로 변질됐다”고도 했다. 그는 “외고·자사고의 학생 수는 전체의 4% 정도고 일반고가 96%인데 지난 10년 동안 소위 명문대학 진학률의 외고·자사고 편중은 심화됐다”며 “지금 고치지 않으면 10년 후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실제 지난해 10월 유은혜(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합격생 중 일반고는 46.1%로 10년 전인 2006년 77.7%에 비해 급감했다. 반면 외고·자사고 비중은 같은 기간 18.3%에서 44.6%로 급증했다. 이 교육감은 다만 추진 방식에 대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방향으로 풀어갈 수 있도록 해달라”며 정부와 함께 공론화 과정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교육감은 외고·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했다. 그는 “정부가 외고 및 자사고의 설립 근거인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제90조 1항 6호와 제91조의 3 삭제)하면 일반고로 전환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입시 명문 변질된 외고·자사고 사라져야”
입력 2017-07-06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