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일(56·사법연수원 18기) 검찰총장 후보자가 공직사회 부패에 대한 사정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그는 “부패한 공직자는 국가와 국민의 적이자 그 사람이 속했던 조직의 적”이라며 “국민의 여망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자는 5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나 수사권 조정과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에 “그 논의가 시작된 발단이나 배경을 잘 이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잇따른 고위검사 비리와 최근의 ‘돈봉투 만찬’ 등 구태에 대한 자성이자 향후 검찰 개혁 의지를 피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문 후보자는 2015년 팀장을 맡아 지휘했던 ‘성완종 리스트’ 수사가 봐주기 수사였다는 일각의 비판에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했다”고 강변했다. 그는 “그 수사는 정말 최선을 다했다”며 “좌고우면한 게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당시 대전지검장이었던 문 후보자는 홍준표 당시 경남도지사와 이완구 전 국무총리를 기소했다. 그러나 리스트에 오른 친박계 인사 6명은 불기소해 ‘권력 눈치 보기식 수사’ ‘친박 무죄, 비박 유죄’라는 정치권의 공격을 받았다.
그해 7월 2일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인 노건평씨의 특별사면 로비 관련 내용도 포함시켜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야당 인사들의 물타기 수사로 본질을 호도했다” “스스로 권력을 위해 존재하는 정치검찰임을 자백하며 검찰에 사망선고를 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한편 대검찰청은 공석인 서울중앙지검 1차장검사 직무대리로 윤대진(53·25기) 부산지검 2차장검사를 7일자로 보임한다고 밝혔다. 윤 차장은 윤석열(57·23기) 서울중앙지검장과 ‘의형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성이 같고 수사 스타일도 비슷해 검찰 내에선 윤 지검장을 ‘대윤(大尹)’, 윤 차장을 ‘소윤(小尹)’으로 부르기도 한다. 대검 중앙수사부에서 굵직한 사건들을 함께 수사한 이들은 서울중앙지검에서 다시 손발을 맞추게 됐다.
글=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
문무일 “부패 공직자는 국가·국민·조직의 적”
입력 2017-07-05 18:31 수정 2017-07-05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