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시진핑·아베·푸틴 회동… 北 핵심 의제 부상

입력 2017-07-05 05:03

문재인 대통령이 6일 독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앞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청와대가 4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7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연쇄 정상회담을 가질 계획이다. 북한 미사일 도발 직후 이뤄지는 회담이어서 북한 문제가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G20 정상회의 일정을 공개했다. 정 실장은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 기간 만나게 될 주요 지도자들과 북핵 및 미사일 도발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공조 기반을 확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우리 스스로 주도해 나간다는 정부의 방향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가 증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첫 회담에서 대북 제재 강화를 촉구하는 한편 사드 배치의 당위성을 집중적으로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최근에도 “사드의 한국 배치 결정을 취소할 것을 강력히 호소한다”고 하는 등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중국이 북핵 동결 등을 위해 강력한 압박을 한다면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할 이유가 없다는 논리로 시 주석을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북한 선수단 참가를 위해 시 주석에게 협조를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

아베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의 공조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위안부 합의 문제는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양자 현안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어떻게 매듭 지을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문 대통령은 누차 “(위안부 합의를) 국민들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솔직한 현실”이라고 말해왔다. 반면 아베 총리는 위안부 합의 이행을 거듭 주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 및 다른 국가 정상들과의 회담에서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