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세대, 가계부채 따른 소비절벽 가능성 크지 않다”

입력 2017-07-04 05:03

가계부채 증가로 은퇴 세대의 ‘소비절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소득과 저축이 비슷하게 증가하고 자산증식 효과도 있어 소비절벽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은퇴 전후 고령세대의 자산·부채로 살펴본 한국의 소비절벽 실현 가능성’ 보고서에서 “부채 보유나 규모가 직접적으로 유동성 제약을 야기해 소비 규모를 위축시키지 않는다”고 밝혔다.

연구원이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 가구주가 속한 가구의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 소비를 살펴본 결과 소득과 소비는 각각 94.51%, 90.51% 늘었다. 같은 기간 저축 역시 78.32% 증가했다. 연구원은 “같은 기간 저축이 78.32% 늘어난 것으로 보아 소득 증가분이 자산 축적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같은 기간 부채는 133.98% 증가했다. 부채 상환액도 2001년 대비 증가하긴 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비교할 때 크게 늘지 않았다. 연구를 진행한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상환 부담에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현 가구가 부채 증가를 통한 자산 증식을 도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로 인한 유동성 제약으로 소비 감소 우려가 있지만 실제로는 부채 증가를 통한 자산 증식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다. 정 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상승과 관련해서도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매월 지출하는 금액의 평균이 3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볼 때 금리 상승이 급격한 소비 위축을 가져올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은퇴 자체가 소비를 위축시키기보다는 소비 패턴 변화를 가져온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은퇴 전까지 지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자녀교육, 노후를 위한 연금 및 보험 지출이 감소한 반면 여가생활과 건강관리 쪽으로 소비가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그러나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만큼 가계부채의 총량적인 측면에서는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