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서 “박지원에 제보 전달 후 자문 구해”… 朴 “못 받았다”

입력 2017-06-30 05:00

이준서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이 29일 문준용씨 취업특혜와 관련한 조작된 카카오톡 메시지를 폭로하기 4일 전 이를 박지원 전 대표에게 보내주고 조언을 구하려 했다는 국민의당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장인 김관영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 전 최고위원은 “박 전 대표에게 지난 5월 1일 (외국계 모바일 메신저인) 바이버로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조언을 구한 일이 있다”고 말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구속된 당원 이유미씨가 조작한 카카오톡 캡처 화면 11장을 박 전 대표에게 전송한 뒤 ‘박지원 대표님 어떻게 하면 좀 더 이슈를 만들 수 있을까요?’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대화명 중 ○○, 박△△는 문준용과 함께 파슨스에서 공부했던 친구들입니다’ ‘문준용은 돈을 물 쓰듯이 쓰는 것, 고용정보원에도 아빠(문재인)가 넣어보라고 해서 넣었다고 친구들한테 말했다고 합니다’ 등 문자메시지도 보냈다.

당 공명선거추진단은 4일 뒤인 지난 5월 5일 조작된 제보자 음성 녹음 파일을 공개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박 전 대표가 당시 선대위원장을 맡고 있었고 정무적인 감각이 있기 때문에 자문하려는 의도로 (카카오톡 캡처 화면을) 보냈다”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녹음파일 공개 직후에도 박 전 대표에게 녹음파일과 보도자료 내용을 전송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해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로) 문자폭탄이 폭주해 휴대전화를 비서관에게 갖고 있으라고 했다”며 이 전 최고위원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받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문자폭탄 때문에 자신이 쓰던 휴대전화를 바꿨으며 기존 휴대전화를 김모 보좌관에게 맡겼다는 주장이다. 김 의원은 “박 전 대표 비서관은 (이 전 최고위원 메시지를) 박 전 대표에게 별도로 전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 비서관은 “당시 이 부분이 핫이슈였기 때문에 일상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더 이상 확인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검찰은 박 전 대표뿐 아니라 안철수 전 대선 후보 등 윗선 개입 여부를 수사 중이다. 이 전 최고위원은 지난 24일 안 전 후보를 독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검찰 수사를 앞두고 있던 이유미씨 요청으로 안 전 후보를 만났으며 “고소, 고발 문제만 논의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안 전 후보 정책비서 출신인 송모 변호사는 이유미씨에게 자신과 같은 법률사무소 소속 변호인을 소개해준 것으로 확인됐다. 안 전 후보는 이르면 30일 관련 입장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씨가 당 관계자에게 조작 사실을 자백한 지난 24일 이전에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씨는 지난 5월 8일 이 전 최고위원에게 ‘지금이라도 밝히고 사과드리는 것이 낫지 않을까 백번도 넘게 생각하는데 안 된다 하시니 미치겠어요’ ‘개인 간에 가볍게 나눈 대화 중 일부일 뿐이지 증언이나 폭로가 아니라는 거요. 그게 사실’ 등의 메시지를 보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