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사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29일 외국어고·자율형사립고 폐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절대평가를 도입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논란이 된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당시 기준과 관행으로 보면 전혀 잘못된 부분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인사청문회에서 외고·자사고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국가 교육 차원에서 (외고·자사고 폐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다만 폐지 과정에서 국가교육회의를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수능이 입시경쟁을 과열시키고 사교육 의존도를 높이는 부작용을 키워왔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어 “수능을 자격고사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거기까지 가는 것은 너무 급진적이고 절대평가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야당 의원들은 김 후보자의 논문 49편 중 15편이 중복 게재 또는 표절, 연구윤리 위반으로 나타났다며 “사퇴하라”고 몰아붙였다. 김 후보자는 “학자의 양심을 걸고 표절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사퇴 의사가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다만 추후 부정행위라고 판명이 날 경우 장관직 사퇴를 포함해 거취를 판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후보자가 사회주의자가 아니냐는 의원들의 질문도 있었다. 김 후보자는 “자본주의 경제학을 중심으로 공부한 자본주의 경제학자”라고 답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순조롭게 검증을 통과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마친 뒤 곧바로 전체회의를 열어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안건을 가결했다. 청문회 당일 청문보고서가 채택된 것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조 후보자는 도덕성과 전문성에서 무난히 합격점을 받았다. 대북 정책과 관련해 제재 일변도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도 드러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과 관련해선 “재개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본다”면서도 “북핵 상황이 엄중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 국면으로 전환되는 게 선결과제”라고 전제했다. 5·24조치 등 대북제재 완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도 “북한이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올바른 방향으로 나오면 제재 완화를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그외 남북 정상회담 성사 여부는 “충분히 준비해 북한에 메시지를 보내면서 대화가 실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 파견 문제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남북관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라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노용택 조성은 기자 nyt@kmib.co.kr
김상곤 “외고·자사고 폐지 문제, 각계 의견 수렴하겠다”
입력 2017-06-30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