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이 8월 초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2021학년도 수능은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이 예고돼 있다. 당초 5월에 정부 초안이 나올 예정이었지만 국정농단 사태와 조기 대선으로 미뤄져 학교 현장의 혼란이 계속돼 왔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29일 인사청문회에서 수능 절대평가 개편안 발표 시점과 관련해 “8월 초까지 고시해야 하는데 남은 기간 최대한 의견수렴해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8월 초 공청회에 올리기 위한 정부 초안을 발표하고 이를 가지고 공청회를 연 뒤 정부 최종안을 낸다는 의미로 보인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문·이과 통합을 추구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될 수능 개편안을 준비해 왔다. 당초 5월 정부 초안을 내고 공청회를 연 뒤 7월에 확정안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수능 절대평가 전환을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논의가 미뤄져 왔다. 6월 말까지도 공청회 일정조차 잡지 못해 고교 진학을 앞둔 중3 학생과 학부모는 큰 혼란에 빠진 상태다.
김 후보자는 또 “수능 자격고사화는 너무 급진적이고 절대평가 과정을 거쳐 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자격고사화는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더라도 당분간 일정 수준의 변별력은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수능-EBS 연계 정책은 “워낙 문제 제기가 많아 재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외국어고·자율형사립고 존폐 논란과 관련해 “자사고 외고 국제고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은 국민이 알고 있다”면서도 “국가교육회의에서 폭넓게 검토하고 교사들과 의견을 수렴해서 방법을 정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교육복지도 강조했다. 그는 “고교까지 교육은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고, 대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더 낮추겠다”며 “누구나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도록 무너진 교육사다리를 다시 세우고 협력과 상생의 가치가 존중받는 교육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절대평가 수능’ 8월초 윤곽…청문회서 밝힌 ‘김상곤 정책’
입력 2017-06-30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