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제2금융권 고위험대출의 고삐를 죄기 시작했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적립 대상 등을 대폭 강화했다. 충당금 적립 부담을 무겁게 해 대출 증가속도를 억누르는 효과를 노린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자치부, 금융감독원은 각 금융회사의 올해 2분기 재무제표부터 ‘제2금융권 건전성 관리 강화방안’을 적용한다고 29일 밝혔다. 대상은 금리가 상승하면 부실해질 우려가 큰 고위험대출이다. 저축은행과 캐피털사는 연 20% 이상 고금리 대출, 상호금융사(농·수·신협과 새마을금고 등)는 일시상환 방식의 다중채무, 카드사는 ‘돌려막기’로 추정되는 복수 카드대출이다.
저축은행은 당초 내년 1월부터 적용 예정인 고위험대출의 추가 충당금 적립 시기를 앞당겼다. 추가 충당금 적립률도 당초 예고했던 20%에서 50%로 대폭 높였다. 상호금융사는 일시상환 방식으로 2억원을 넘게 빌렸거나 5곳 이상에서 돈을 빌리면 고위험대출로 분류한다. 고위험대출 가운데 회수 가능성이 ‘정상’으로 판단되는 대출에도 추가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했다. 적립률은 30%다. 2곳 이상 카드사에서 카드대출을 받은 경우 추가 충당금(적립률 30%)을 적립하도록 새 규정을 만들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제2금융권 고위험대출 고삐 바짝
입력 2017-06-29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