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외고·자사고 폐지에서 한 발 물러나면서 다른 진보 성향 교육감들도 신중한 태도로 돌아선 모습이다. 외고·자사고 폐지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결정은 정부의 지침을 기다려본 뒤 하겠다는 서울교육청과 비슷한 입장을 내비쳤다.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28일 “외고와 자율형 사립고는 원래 취지와 다르게 학교 서열화라는 폐단을 낳고 있는 데다 폐지가 새 정부의 공약인 만큼 대통령 임기 내에 완료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문재인정부의) 교육부 장관 임명 후 방침이 정해지면 로드맵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장서지는 않겠다는 취지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도 “정부의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오면 그에 따라 풀어가겠다”고 입장을 밝혔고,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도 “교육부로부터 구체적인 지침이 내려오면 상황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도교육청도 원칙적으로 찬성 입장이지만 결정 여부는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제주도교육청도 제주외고의 일반고 전환 자체는 공감하지만 학생과 동문, 학부모와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한 뒤 하반기쯤 검토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제주외고의 일반고 전환은 2015년 제주 고교체계 개편 과정에서 거론됐다가 학부모·동문 등의 강력 반발로 백지화됐었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도 비슷하다. 외고와 자사고는 궁극적으로 폐지하는 게 옳지만 단계적으로 추진해 혼란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폐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조대현 경기도교육청 대변인은 “자사고는 일반고로 전환돼야 한다”고 잘라 말하며 “재지정은 없다는 교육감의 입장에는 전혀 흔들림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보수 성향 교육감은 유지 입장이다. 대구시교육청은 정부가 강제 폐지에 나서지 않는 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교육청 역시 학부모나 학생 혼란이 없도록 자사고들을 2019학년도까지 현행 유지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수원·전주·제주·대구=강희청 김용권 주미령 최일영 기자
[외고·자사고 재지정] 진보 교육감들 ‘신중 모드’ 전환
입력 2017-06-2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