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 특혜채용 제보 조작 사건과 관련, “만일 당의 조직적 조작이나 은폐 행위가 있었다면 새 정치를 목표로 출범한 국민의당은 존재 목적과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상황이 온다면 제가 앞장서서 당 해체 수순을 밟겠다”고 밝혔다.
박 비대위원장은 경기도 수원에서 열린 현장 비상대책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국민의당 진상조사단도 제보 내용을 전달받은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면담 조사하는 등 진상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9일엔 안철수 전 대선 후보 측과 만나 면담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제보 조작을 자백한 당원 이유미씨 조사를 위해 검찰 측과도 논의할 계획이다. 철저한 자체 조사를 통해 창당 이후 최대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당 차원 개입 의혹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되레 제보 조작 사건과 준용씨 취업 의혹을 한꺼번에 조사하기 위한 특검 도입 문제와 ‘안철수 책임론’을 둘러싸고 이견이 노출되는 등 자중지란에 빠진 모양새다.
당 지도부는 ‘물타기’라는 역풍을 우려해 검찰 수사 이후 특검 도입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당 일각의 특검 도입 주장에 대해 “지도부에서 결론을 맺었기 때문에 더 이상은 개인 의견이 표출되지 않아야 하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그러나 박지원 전 대표는 “문준용씨와 관련된 의혹 문제도 차제에 털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특검 도입을 연일 주장하고 있다.
안 전 후보가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을 해야 한다는 당 안팎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김태일 국민의당 혁신위원장은 “대선 과정에서 최종 책임을 지는 안 전 후보가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게 도리”라고 지적했다. 한 초선 의원은 “일부 당원이 안 전 후보를 도우려던 과정에서 이번 사태가 터졌다. 안 전 후보가 가만히 있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도 했다. 반면 안 전 후보와 가까운 한 의원은 “안 전 후보도 제보 조작 사실을 몰랐을 것”이라며 “안 전 후보는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온 뒤 그에 따른 입장을 낼 것으로 안다”고 했다.
당 공명선거추진단장을 맡았던 이용주 의원은 전날에 이어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 차원의 개입 의혹을 불식시키는 데 힘을 쏟았다. 이 의원은 “당원 이유미씨가 이틀간 검찰 조사에서 제보 조작을 혼자 했으며, 제보 조작 사실을 이 전 최고위원에게 알린 바도 없다고 진술했다”고 주장했다. 또 조작된 제보 내용이 발표됐던 지난 5월 5일을 전후로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이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시지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발표 다음날인 5월 6일 이 전 최고위원은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면서 이씨에게 추가 자료를 요구했다. 그러자 이씨는 “(제보자는) 이 정도 했으니 그만하자는 입장이다. 정말 난처하다. 내일도 졸라보겠다”고 답변했다. 이 전 최고위원이 발표 이후에도 조작을 몰랐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박주선 “조직적 개입했다면 당 해체”… 해법 싸고 자중지란
입력 2017-06-2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