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환 전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현 정부 인사청문회 대상자 중 첫 번째로 낙마한 이후 청와대는 검찰 개혁과 인사 검증 통과를 모두 충족할 인사 물색에 주력해 왔다. 안 전 후보자와 닮은 경력의 개혁성향 법학자 박상기(65)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카드를 택해 이제 외부 검증의 벽을 넘어야 하는 과제가 남게 됐다.
청와대는 임종석 비서실장이 주재하는 인사추천위원회를 가동한 끝에 지난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에 취임한 박 교수를 27일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최종 지명했다. 인사추천위는 후보 대상자 전체를 놓고 원점부터 재검토했다. 안 전 후보자 사퇴의 원인이 된 저서·칼럼 내용 등 과거 경력과 사생활 부분까지 강도 높게 검증했다고 한다. 당초 현역 국회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속 재야 변호사들도 거론됐으나 대부분 고사하거나 장관 임명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지가 발견돼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장고 끝에 고른 박 후보자마저 향후 검증 과정에서 중대한 결함이 나오면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 전반이 도마 위에 오르게 된다는 절박감도 있었다.
청와대 박수현 대변인은 ‘박 후보자 관련 정부 인사 원칙에 위배되는 사항은 없었나’라는 질문에 “별도로 말씀드릴 게 없다. 최선을 다해 정말 고민스럽게 깊이 들여다봤다”고 답했다.
박 후보자는 지명 발표 5시간여 뒤 서울 종로구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세종로출장소로 출근해 인사청문회 준비에 들어갔다. 그는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우선은 겸허하고 낮은 자세로 인사청문회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실무 경험이 없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제 전공이 형사법이고 그동안 법무부와 검찰의 각종 위원회, 시민단체 활동 등에서 얻은 경험이 보완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안 전 후보자 사퇴로 보류됐던 차기 검찰총장 인선 작업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법무부는 지난 14∼20일 각계에서 검찰총장 제청 대상자 13명을 천거 받았다. 현직 검찰 간부 7명과 전직 6명이 이름을 올렸다.
검찰총장 자리는 전직 김수남 총장이 현 정부 출범과 함께 사표를 내면서 한달반가량 비어 있다. 조속한 선임이 필요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박 후보자가 청문회를 거쳐 임명장을 받기 전에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법무부 장관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이금로 차관이 총장 제청권을 행사하게 된다. 법무부와 검찰의 수장 인선이 마무리되면 8월쯤 국정농단 사태로 미뤄진 검찰 정기인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靑, 과거 저서·칼럼까지 검증… “깊이 들여다봤다”
입력 2017-06-2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