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D-3… 9회말 역전극 나올까

입력 2017-06-28 05:00
지난 2월 롯데마트 군산점 앞에서 열린 ‘군산조선소 존치 범도민 총결의대회’의 모습.군산시 제공

딱 사흘 남았다. 7월 1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운명의 날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군산시민과 전북도민들의 우려가 극도로 높아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월부터 군산조선소를 6월 30일까지만 가동하고 7월부터 문을 닫겠다고 공식화했다. 경영난 때문이다. 급기야 지난달 4일 이 내용을 공시했다. 군산시와 전북도, 시민단체, 상공회의소 등은 지난 6개월간 현대중공업과 정부를 상대로 공장 정상화를 적극 호소했으나 큰 진전이 없었다.

다행히 새 정부가 들어서며 변화가 감지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북지역 대선공약으로 군산조선소 활성화를 제시했다. 지난달 31일 군산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조선·해운업 활성화 정책을 강조했다.

현재 각 부처는 조선·해운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는 선박펀드 물량확대와 군산조선소 물량배정 조정 등을 검토 중이고, 해양수산부는 해운사의 신조선박 물량 발굴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전북 조선산업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군산조선소가 휘청대면서 군산과 전북 경제는 이미 직격탄을 맞았다. 27일 전북도에 따르면 군산조선소 사내외 협력업체는 지난해 4월말엔 86개 업체가 가동됐으나 올해 5월말 현재 51개 업체가 문을 닫았다. 근로자는 이 기간 5250명 가운데 3800여명이 실직했다. 군산조선소가 폐쇄되면 지역경제 타격은 물론 근로자 가족까지 2만명 이상이 어려움을 겪게 된다.

전북도의회는 최근 정부의 군산조선소 신속 대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도의회는 “전북은 지금 일자리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당장 군산조선소가 폐쇄된다면 5000명 이상의 실업자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에서는 “망해가는 대우조선해양에는 또 퍼주고, 멀쩡한 군산조선소는 망하도록 방치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전북도는 정부의 조선·해운업 활성화 정책의지가 강하고, 글로벌 조선업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현대중공업이 가동 중단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으로 사흘, 새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 것인지 아니면 현대중공업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가 있을 것인지 전북도민들은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