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6일 취임 후 첫 현장방문으로 서울시 동대문구 휘경동 청년 전세임대주택과 광진구 자양동 매입임대주택 등 서민임대주택을 찾았다.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청년과 서민들의 주거난이 심하다는 점을 고려한 행보로 향후 정부의 주택정책이 주거복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휘경동 대학가의 전세임대주택을 찾은 김 장관은 “올해 하반기 추경을 통해 청년·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을 추가로 공급하겠다”며 “2022년까지 청년 임대주택 30만실, 신혼부부 임대주택 20만 가구를 조속히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매년 17만 가구, 임기 내 총 85만 가구에 이르는 공공임대주택을 저소득층과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올해까지 청년과 신혼부부 등에게 1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박근혜정부의 ‘행복주택’ 사업의 색깔은 지우는 대신 공공임대주택 사업을 위한 정부 지원은 대폭 확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우선 정부는 하반기부터 청년들에게 매입임대주택을 1500가구 신규 공급하기로 했다. 또 청년 전세임대는 기존 6100가구에서 7300가구로 총 1200가구 늘린다.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임대도 4000가구에서 6000가구로 2000가구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4413억원의 추경 예산이 잡혀 있다.
또 청년 임대주택의 30만실 공급을 조기 달성하기 위해 노후 공공시설물의 재건축 등을 통한 셰어하우스형 청년 임대주택의 사업모델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올 하반기 저소득 가구를 위한 영구임대, 국민임대주택을 추경으로 6600가구 정도 확대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고시원이나 비닐하우스 등 주택 이외의 열악한 거처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고 체계적인 주거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청년 전세임대주택에 거주하는 노모(19)씨는 “학생마다 저렴한 임대료를 내고 있다”면서 “이런 주거형태가 많이 생기도록 학생에게 공급하는 주택 건축은 규제를 완화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올 청년·신혼부부 공공임대 4700가구 추가 공급”… 김현미 첫 현장행보
입력 2017-06-26 17:51 수정 2017-06-26 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