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를 둘러싼 갈등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중앙정부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26일 오전 자사고 학부모들은 자사고 폐지 방침 철회를 요구하며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서울시교육청까지 약 1.6㎞ 거리행진을 했다. 이날 행진에는 서울지역 23개 자사고 학부모 모임인 ‘자사고학부모연합(자학연)’ 회원 2000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했다.
굳은 표정으로 행진에 나선 이들은 교육 당국의 자사고 폐지 방침에 항의하는 의미로 모두 검은색 옷을 입었다. 아침에 비가 내린 탓에 우의를 입고 온 학부모들도 있었다.
송수민 자학연 회장은 “궂은 날씨에도 지방 자사고를 비롯해 폐지 논의에 반대하는 외고 학부모들까지 참가했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일반고 정상화를 위해서 자사고를 폐지하면 자사고 학생들만 피해를 보게 된다”며 “정권과 교육감이 바뀔 때마다 급변하는 교육정책에 학생들이 희생되는 상황을 더 이상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정치싸움에 볼모 삼지 마라” “지역평등화 외치더니 강남 8학군 부활이냐” 등의 구호를 외쳤다.
27일에는 전국 외국어고등학교 학부모들이 연합회 회의를 열어 외고 폐지 반대 성명을 발표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오는 30일 여의도연구원과 자사고 폐지 정책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한다.
여론은 자사고와 외고 폐지를 지지하는 의견이 더 많다.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폐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52.5%,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은 27.2%였다. 학부모 중에서도 폐지 여론이 55.4%였다. 지역별로도 서울 59.5%, 광주·전라 66.9% 등 모든 지역에서 폐지 의견이 다수였다.
서울시교육청 이상수 대변인은 “자사고를 존속시키겠다고 할 수도 없고, 폐지하겠다고 할 수도 없다”며 “시교육청의 권한으로는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만약 자사고가 고교 서열화를 야기해 공교육 정상화에 걸림돌이 된다면 중앙정부에서 법을 개정해 해결할 것”이라며 “서울시교육청은 그에 따른 후속조치를 할 뿐”이라고 했다.
이재연 기자 jaylee@kmib.co.kr
“자사고 폐지 철회” 학부모들 거센 반발
입력 2017-06-26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