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종파 갈등으로 야기된 카타르 고립 사태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아랍권 국가들이 국교 복원의 선결 조건으로 내건 13개 항목에 대해 카타르가 ‘주권 침해’라며 거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앞서 사우디 등은 카타르에 이란 제재 동참 및 이란 주재 공관 폐쇄와 터키와의 군사협력 중단, 알카에다·이슬람국가(IS)·헤즈볼라·무슬림형제단 지원 금지, 테러 용의자 정보 공개, 카타르 국영 알자지라 방송 폐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의 협력 중지 등 13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또 이들 항목의 이행 여부를 10년간 검증받을 것을 요구했다.
셰이크 사이프 빈 아흐메드 알타니 카타르 정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국영 QNA통신을 통해 “요구 목록은 카타르의 주권을 제한하고 그들의 외교정책에 순응하라는 것”이라며 “카타르에 대한 불법적 봉쇄가 테러와의 전쟁과도 전혀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마샬 빈 하마드 알타니 미국 주재 카타르대사도 “아랍권의 요구 목록으로 카타르가 테러를 지원한다는 주장이 허위란 것이 드러났다. 그들은 카타르의 언론·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카타르의 주권을 침해하려 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사우디 등은 선결 조건을 열흘 안에 반드시 수용해야 한다며 최후통첩을 보냈다. 안와르 가르가시 아랍에미리트(UAE) 정무장관은 “카타르가 요구를 거부하면 대안은 결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사우디 등 요구 명백한 주권 침해” 카타르, 공식 거부
입력 2017-06-25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