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키우려면 민간 투자·M&A 늘려야”

입력 2017-06-25 18:53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벤처·스타트업을 키우려면 민간에서 주도하는 벤처투자와 인수·합병(M&A)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3일 제주도 제주 롯데호텔에서 ‘일자리 창출의 주역 중소기업·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다’ 정책토론회를 열고 벤처·스타트업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고 25일 밝혔다.

창업벤처 전문가 최백준 ㈜틸론 대표는 “미국에선 벤처캐피털의 20%인 약 28조원이 기업주도형 밴처캐피털방식(CVC)으로 모은 투자금”이라며 “한국도 기존 금융기관 중심의 벤처투자에서 벗어나 CVC가 자리잡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금 여유가 있는 기업들이 유망한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역동성과 M&A를 늘리고 벤처·스타트업 창업을 촉진해야 한다는 의미다.

최 대표는 “기울어진 운동장에 놓인 벤처기업을 보호하려면 일정기간 최소 규제만을 적용하는 ‘규제 샌드박스(Sandbox·안전공간)’를 도입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한국중소기업학회장인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벤처·스타트업 육성은 기술을 개발할 인력을 확보하고 연구·개발(R&D)을 계속해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게 핵심”이라며 “정부 투자기금과 함께 민간 투자펀드를 활성화해 육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도 민간과 손잡고 벤처·창업기업을 지원키로 했다. 중소기업청은 중기청과 대·공기업이 각각 100억여원씩 출연해 시장잠재력이 있는 벤처·창업기업을 지원한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해 선정한 창업·벤처기업 400개사에 올해 350개사를 더 선정해 판로·해외진출이나 사업모델 혁신 등에 드는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금 한도는 1년 동안 최대 1억원까지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