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재인·트럼프 신뢰 구축이 정상회담 최우선 과제다

입력 2017-06-25 18:02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9∼30일 워싱턴에서 갖는 첫 한·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정세의 변곡점이 될 것이다. 각기 집권 초에 여는 이번 회담 결과가 향후 북한 핵·미사일 정책과 한·미동맹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역대 한국 정부 중 가장 이른 미국과의 정상회담이기도 하다. 그만큼 양국 간에 조율할 문제가 시급하다는 얘기다.

이번 정상회담은 무엇보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에 신뢰가 구축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이는 미국보다 한국에 더 절박한 대목이다. 우리 외교가에서는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바람직한 모델로 여기고 있다. 당시 안보와 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확인하며 신뢰를 쌓은 두 정상은 그 후 수시로 전화 통화를 하는 사이가 됐다. 문 대통령도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에게 ‘믿을 만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주요 현안에서 이견을 좁혀 나가야 한다. 우선 북핵 폐기는 목표는 동일하지만 접근법에서 차이가 상존한다. 문 대통령은 ‘동결→완전 폐기’라는 2단계 해법을 제시했으며 이 과정에서 대화와 협상이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최고의 압박과 관여’로 요약되는 미국의 대북정책은 대화보다는 제재에 방점이 찍혀 있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자신의 구상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설명하고 지지를 확보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가는 것이다.

한국의 새 정부 등장 이후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는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도 두 정상이 큰 매듭을 지어야 한다. 미 의회와 행정부 내에서 커지고 있는 한·미동맹 균열 우려와 맞닿아 있는 지점이어서 문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문제다.

첫 회담이 성공하려면 두 정상이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임을 깨닫는 것도 절대적이다. 미국의 대북 제재가 효과를 보려면 한국이 이를 지지해야 하고, 한국의 대화 제의가 북한에 설득력을 가지려면 미국의 지지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양국의 공조 없이는 어떠한 대북정책도 실효성을 거둘 수 없다는 인식을 두 정상이 공유해야 한다. 또한 양국 정상은 이견을 좁히기는커녕 갈등을 고스란히 노출하는 상황만은 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