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위성이 비싼 비용 문제를 이유로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23일 방위성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논의됐던 사드 도입을 보류하고, 새로운 육상 배치형 요격 미사일 시스템인 ‘이지스 어쇼어(Aegis Ashore)’ 도입 경비를 2018년도 예산안에 반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일본은 이지스함에 탑재한 요격미사일 SM3가 최고 고도 500㎞ 대기권 밖에서 요격하고, 이에 실패할 경우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이 지상 수십㎞ 상공에서 쏘아 맞히는 방식의 ‘2단계’ 탄도미사일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 진전을 빌미로 ‘이지스 어쇼어’ 및 사드 도입을 검토해 왔다. 이지스 어쇼어는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함에 탑재한 요격 미사일과 고성능 레이더의 지상배치형으로 비용 대비 효과가 뛰어나다.
이지스 어쇼어의 도입 비용은 대당 약 800억엔(8200억원) 정도로 예상돼 이지스함 1척 건조비(약 1700억엔)보다 낮다. 이지스 어쇼어는 또 미·일이 현재 개발 중인 미사일을 이용하면 2기로 일본 전체를 감시, 방어할 수 있다. 사드 배치 비용은 1기당 10억 달러(약 1조1375억원)가량인 데다 전국에 6기 정도 배치돼야 한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위성은 다음 달 열리는 ‘통합기동방위력 구축 위원회’에서 이지스 어쇼어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최종 정리할 예정이다.
구성찬 기자
“사드 가격 너무 비싸다” 日 방위성, 사실상 포기
입력 2017-06-23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