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공무원·공공부문 채용 때 하반기부터 블라인드 면접”

입력 2017-06-22 18:03 수정 2017-06-22 21:35

문재인(얼굴) 대통령이 올 하반기 공무원 및 공공부문 채용부터 ‘블라인드 채용제’를 도입할 것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 기업에도 이를 권유해 채용 시장 전반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2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올 하반기부터 공무원과 공공부문에서 채용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며 “이는 정부 결정만으로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채용하는 분야가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이나 ‘스펙’(specification·토익 점수나 학점 등을 뜻하는 은어), 신체조건을 요구하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이력서에 학벌·학력·출신지·신체조건 등 차별적 요인을 일절 기재하지 않도록 해 달라”며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법제화 전까지는 민간 쪽은 우리가 강제할 수 없다”면서도 “민간 대기업들도 과거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한 사례들에 의하면 실력과 열정이 훨씬 더 있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었다는 게 증명됐다. 민간 대기업들에도 권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지방 혁신도시 내 채용의 경우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를 도입할 것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지역으로 이전된 공공기관이 신규 채용할 때 적어도 30% 이상은 지역인재를 채용토록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를 운영했으면 한다”며 “그래야 혁신도시 사업이 지역인재까지 발탁해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내는 진정한 혁신도시, 진정한 국가 균형발전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래 혁신도시 사업을 할 때 (채용 할당제가) 하나의 방침이었는데, 들쭉날쭉한다. 적어도 30%선 정도는 채용하도록 확실한 기준을 세우든지 독려하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날 처음 참석한 문미옥 청와대 신임 과학기술보좌관에게 “정부조직법이 개편되면 미래창조과학부에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설치해 과학기술 발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기려 한다. 그래서 (문 보좌관을) 모신 것”이라고 격려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