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저는 친노동이자 친기업”이라면서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계와 경영계를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1일 오후 청와대에서 일자리위원회 위원장으로 첫 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날 1호 업무지시로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지시하고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통령 주재 회의에 주요 노사단체가 모두 한자리에 모인 것은 18년 만에 처음”이라며 양대노총 대표의 참석에 고마움을 나타냈다. 이어 “지난 두 정부에서 노동계는 아주 철저하게 배제되고 소외됐다”며 “그러나 문재인정부는 다르다. 노동계를 국정의 주요 파트너로 인정하고 다양한 의견이 필요한 정부위원회에 양대 노총 대표를 위원으로 모시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재계에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데 역할을 해주시면 업어드리겠다”고 했다. 노동계를 향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적어도 1년 정도는 시간을 주고 지켜봐 주셨으면 좋겠다”고 양해를 구했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일자리 창출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 대통령께서 업어주는 날 기다리겠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일자리정책 로드맵을 8월 말까지 마련해 달라”고 했고, 이용섭 부위원장은 “7월까지 실태조사를 거쳐 8월 중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추가경정예산 편성안이 정치적 이유 때문에 지연되면 국민들의 고통이 가중될 것”이라면서 국회의 신속한 처리도 당부했다.
신규 채용과 정규직 전환을 확대하려는 민간과 공공 부문의 움직임도 모범 사례로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 부문에서도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사례들이 많은 것은 매우 고맙고 고무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회의에 앞서 문 대통령은 이 부위원장 등 위촉직 위원 14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청와대에서는 장하성 정책실장 등 참모진이 대거 참석했다. 위원회 간사를 맡아야 하는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여전히 공석이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文 대통령 “1년 정도 지켜봐달라” 노동계에 당부
입력 2017-06-21 17:51 수정 2017-06-21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