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짓고 있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사회적 합의’ 도출 후 결정할 뜻을 밝히면서 원전 찬반을 둘러싼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원전 건설에 찬성하는 단체는 고용창출·세수확보 등 경제논리를, 반핵단체는 원전 밀집에 따른 위협요소 증가 등 안전논리를 앞세워 충돌하고 있다.
원전 건설을 촉구하는 ‘울주범군민대책위’ 이상대 위원장은 21일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이미 8개의 원전이 가동되는 원전단지가 된 만큼 다른 지역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2013년에 신고리 5·6호기를 자율 유치했다”면서 “이제 와서 원전 건설을 중단하는 것은 주민들을 두 번 죽이는 처사”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서생면 주민들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자는 마음에서 원전을 자율로 유치했다”며 “원전 주변에 살아보지도 않은 사람들이 안전을 걱정하며 폐쇄를 주장하는데 도대체 누구를 위한 걱정인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는 22일 부산경찰청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주장하는 서병수 부산시장과 부산지역 정치권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기로 했다.
울산시의회도 원전건설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시의회는 지난 19일 189회 제1차 정례회에서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반대 결의안’을 가결했다.
원전건설에 반대하는 단체들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울산탈핵시민공동행동은 지난 20일 울산시의회에서 원전 건설에 찬성하는 시의회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정부정책으로 확정 발표하라”고 요구했다.
이 단체는 “결의안에 찬성한 의원들은 지금이라도 사과하고 무책임하게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는 김기현 시장 역시 탈핵 대열에 즉각 합류하라”고 촉구했다.
또 “사회적 합의를 선도할 위치에 있는 당사자들이 시민들과 불통하며 일방적으로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은 울산시민을 대상으로 한 명백한 테러행위이고 정부 정책 방향에 의도적으로 어깃장을 놓는 갈등조장 행위”라고 지적했다.
찬반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5·6호기는 2021년과 2022년 각각 준공될 예정이며 공정률은 5월 말 기준 28.8%다. 설계 79%, 기자재 구매 53% 등으로 총 1조5000억원이 투입됐다. 사업비와 공사중단 조치에 따른 매몰비용은 1조∼2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경제’ vs ‘안전’… 신고리 5·6호기 갈등 격화
입력 2017-06-22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