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채권단이 초강경 카드를 꺼냈다. 금호타이어 매각이 무산되면 금호그룹과의 거래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선언했다. 금호타이어 상표권을 둘러싼 갈등을 ‘몽니’로 규정하고 금호그룹에 최후통첩을 보낸 것이다.
산업은행 등 8개 금융사로 구성된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20일 주주협의회를 열고 “상표권 문제 등으로 금호타이어 매각이 무산되면 추가적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더블스타와 매각 거래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1조3000억원 규모)은 차질 없이 만기를 3개월 연장키로 했다.
또 채권단은 부실경영 책임을 추궁키로 했다. 채권단은 “반드시 현재 경영진의 퇴진과 우선매수권 박탈을 추진할 것”이라며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은 금호그룹과의 거래관계 유지를 전면 재검토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 구조조정을 하는 목적은 옛 사주의 경영권 유지나 회복이 아니라 기업을 정상화해 유지시키는 데 있다”며 “박삼구 회장과 현재 경영진은 금호타이어 워크아웃 이후 8년여 동안 중국사업 정상화를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최근 금호타이어는 최악의 경영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을 비롯해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로 구성돼 있다. 특히 산업은행은 현재 금호타이어와 아시아나항공의 주채권은행이다. 실제로 채권단 소속 은행들이 금호그룹과 거래를 끊으면 금호그룹은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금호그룹과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서 상표권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채권단은 상표권 사용기간 5년 보장, 15년 선택 사용 가능, 매출액 대비 0.2%의 상표권 사용료율 등을 요구했다. 반면 금호그룹은 사용기간 20년 보장, 매출액 대비 0.5% 사용료율, 상표권 독점적 사용 등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매각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 금호산업 이사회의 전향적 협조를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금호그룹은 아직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매각 무산땐 ‘그룹’과 거래 끊을수도” 금호타이어 채권단, 최후통첩
입력 2017-06-20 18:45 수정 2017-06-20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