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일제고사에서 일부 학생만 추려 보는 방식으로 바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가 20일 시행됐다. 진보성향 교육감들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의 요구로 9년 만에 표집(標集) 방식으로 전환된 뒤 첫 시험이었다. 표집평가 전환의 적절성, 표집학생 수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7년 학업성취도평가를 중학교 238곳, 고교 236곳 등 모두 474곳에서 시행했다고 밝혔다. 대상 학생 93만5059명 중 12만8367명(13.7%)이 봤다. 13.7%가 봤지만 3%만 결과를 분석한다.
학업성취도평가는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잘 따라오는지 측정하려는 목적으로 중3과 고2를 대상으로 매년 시행된다. 문재인정부 인수위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자문위는 지난 14일 학업성취도평가를 전수평가에서 표집평가로 전환하도록 교육부에 요구했다. 교육부는 불과 시험 시행 일주일을 앞두고 수용했다.
앞으로는 지역과 학교별 학업성취도 비교는 어렵게 됐다. 전수평가 방식에선 지역과 학교별로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 등 세부 자료가 산출돼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3%로는 국가수준에선 학력 측정이 가능해도 시도별, 시군구별, 학교별 비교는 불가하다”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표집에 해당되지 않는 학생들은 자신들의 수준 확인을 위해 사교육기관으로 달려갈 것이 불을 보듯 자명하다”고 우려했다.
전교조는 교육부가 꼼수로 응시 학생 수를 늘렸다고 비판한다. 3%만 보기로 해놓고 13.7%를 보게 했다는 주장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표집방식 첫 학업성취도평가… 교육부 “지역·학교 비교 못해” 전교조 “응시생 늘렸다” 비판
입력 2017-06-20 18:23 수정 2017-06-20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