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해체 58개 핵심 기술 중 41개 보유… 오염도 예측 평가 등 17개 더 확보해야

입력 2017-06-20 18:21
사진=이병주 기자

신규 원전 건설을 중단하는 등 탈핵 정책이 구체화되면서 수명이 다한 폐로를 해체하는 ‘원전 해체 산업’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국내 기술은 선진국 80% 수준에 불과해 원전 해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19일 0시를 기해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 1호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체되는 상업용 원전이다. 연구용 원자로 2기를 해체한 경험이 있긴 하지만 규모와 방사능량에서도 크게 차이 나기 때문에 요구되는 기술이 다르다. 연구용 원자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만들거나 원자력 이용 기술 등을 연구하는 데 쓰인다.

연구용 원자로 해체는 ‘트리가 마크-2’와 ‘트리가 마크-3’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1962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트리가 마크-2는 1995년 해체가 결정됐고 2호기였던 트리가 마크-3는 1997년 해체 작업을 시작한 뒤 2008년 마무리됐다. 1호기는 기념관 건립 논의로 해체 작업이 다소 지연돼 2021년 부지 복원을 마칠 예정이다.

연구용 원자로는 방사능 수치가 낮아 보호 장구를 착용한 인력이 직접 작업에 투입된다. 하지만 고리 1호기 등 상업용 원전은 방사능 수치가 높아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작업 성격 자체가 다르지만 연구용 원자로 해체 경험이 상업용 원전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압력기 및 냉각펌프 제염 등 일부 기술은 상업용 원전에도 발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고리 1호기의 경우 해체에 필요한 상용화 기술 58개 중 17개를 개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당장 1단계 ‘인허가’ 과정에서 개발해야 할 핵심 기술만 5개에 달한다. 해체 공정의 난이도를 평가하고 오염도 등을 예측 평가하는 기술이다. 이밖에도 재활용 폐기물 안전성 평가 등 ‘폐기물 관리 기술’, 지하수 감시 및 오염평가 등 ‘부지복원 기술’ 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하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을 해체하는 데 15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있고 요구되는 기술들이 개발하는 데 큰 어려움 없는 것들이어서 기술 확보에는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글=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