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희망센터 연장 운영을”

입력 2017-06-19 18:50
조선업체 퇴직자 재취업 등을 도와주는 조선업희망센터를 연장해야 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19일 울산시와 조선업희망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정부의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후속 조치로 울산, 거제, 목포, 창원 등 4개 조선업 밀집 지역에 각 자치단체가 희망센터를 설치했다.

센터는 중소 조선업체 지원, 조선업 퇴직·실직자 실업급여 지급, 취업 알선, 재취업 교육, 심리 상담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기간이 이달 말 만료됨에 따라 울산 등 전국 조선업희망센터는 오는 30일 문을 닫아야 할 처지다.

울산지역에서는 지역 경제 위기가 진행 중이라며 조선업희망센터의 연장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울산지역 조선업희망센터는 하루 150∼200여명이 방문해 월평균 8000여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이용자 5835명 중 31.6%인 1844명이 새 직장을 구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도크 2∼3개의 가동을 중단할 계획이다. 조선업 사업체 수는 지난해 6월 1160개에서 올해 4월 1031개로 11% 줄었다.

이에 울산을 비롯해 5개 시·도는 지난달 31일 정부에 ‘조선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제출해 특별고용지원업종과 조선업희망센터의 연장 운영을 요청했다. 그러나 정부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심의위원회가 기간 연장을 심의하고 있는데 긍정적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