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사진) 공정거래위원장이 이르면 22일 4대 그룹과 회동한다. 공정위는 이와 별도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 점검을 마치고 일감 몰아주기 조사 대상 2∼3개 그룹을 선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김 위원장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재벌정책의 파트너는 기업집단”이라며 “우선 4대 그룹을 만나 기업의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이면서 정부와 재계 간의 대화를 스타트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과 부총리에게 보고했고 승인받았다”면서 “재계 창구는 대한상공회의소로 4대 그룹 미팅 자리 마련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4대 그룹에 재벌 개혁을 몰아치듯 하지 않겠다는 취지를 설명한 뒤 기업 측에 사회와 시장의 기대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주문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정부 구성이 완료되면 경제부총리가, 궁극적으로는 대통령이 직접 기업인들과 만날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시적 공식 협의 채널을 만들 생각은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박근혜정부가 겪은 국정농단 사건은 재계 인사와의 부적절한 만남 속에서 이뤄졌다”며 “더 나아가 기업인과 대통령이 독대하는 과정에서 정경유착하는 것은 자살행위”라고 덧붙였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공정위원장과 4대 그룹 간 회동은 22일 또는 23일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4대 그룹 대표는 미정이지만 총수 일가보다 각 그룹 대표 계열사의 전문경영인일 가능성이 높다. 공정위는 4대 그룹 회동과 별도로 총수 일가 일감 몰아주기 조사와 관련해 조사 대상 대기업 내부거래 현황 파악을 마쳤다. 이르면 이달 중 직권조사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김상조 공정위원장, 이르면 22일 4대그룹 면담
입력 2017-06-19 18:16 수정 2017-06-19 19:07